본문 바로가기
지적재산권

흰옷 하얗게 하는법│누런때 지우기

by 지식학박사 2023. 5. 11.

하얀 와이셔츠나 흰 속옷을 주로 입는 분들이라면 변색이 얼마나 잘되는지 알고 계실 것입니다. 흰옷은 다른 색상의 옷에 비해 때가 더 잘 묻고 변색도 눈에 더 잘 띄기 때문에 각별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흰옷 하얗게 하는법 11가지

흰옷을 하얗게 만드는법은 세탁방법도 중요하지만 이와는 별개로 관리가 필요합니다. 늘 새 옷처럼 깨끗하게 보일 수 있는 추가적인 관리방법으로 하기 재료를 이용한 방법 알려드립니다.

  1. 소금
  2. 베이킹소다
  3. 과탄산소다
  4. 아스피린
  5. 치약
  6. 우유
  7. 레몬즙
  8. 쌀뜨물
  9. 삶기
  10. 과산화수소
  11. 주방세제

여름이 다가와 흰 티셔츠를 꺼냈을때 누렇게 변해 바로 입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생깁니다. 또한 세탁으로도 변색 부분을 쉽게 지우지 못해 입지 못하는 경우도 많이 있을 거라 생각되는데요. 위 재료를 이용해 흰 옷 하얗게 하는 법 아래에서 상세히 알려드립니다. 

 

 

1. 소금을 이용한 방법

소금에는 표백작용이 뛰어난 성분이 들어있어 흰옷을 깨끗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종이컵 반컵정도의 소금과 물을 같이 끓여준 후 흰 옷을 넣으면 마법처럼 누런때가 사라집니다. 주의사항으로 프린트가 있는 옷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2. 베이킹소다를 이용한 방법

베이킹소다는 천연세제로 가정에서 많이 사용하고 각종 청소에도 많이 사용됩니다. 세탁시 세탁기에 옷을 돌릴 때 세제와 베이킹소다를 함께 넣어서 세탁하면 누런 옷을 더욱 하얗게 세탁할 수 있습니다. 또한 물에 담가서 누런 때를 제거하는 방법도 있는데요. 베이킹소다 3스푼과 식초 1스푼을 물에 풀어 옷을 30분 정도 담가준 후 꺼내 헹궈주면 더욱 하얀 옷을 보실 수 있습니다.

3. 과탄산소다를 이용한 방법

과탄산소다는 위에 언급한 베이킹소다 보다 더 강력한 세척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땀자국이나 오염물 등을 깨끗하게 지워주는 역할을 합니다. 과탄산소다는 세탁기에 직접 사용해서는 안되며 담가주는 용도로 이용합니다. 중성세제와 과탄산소다를 1:1 비율로 풀어준 후 30분 이상 담가줍니다. 그다음 잘 비벼 헹궈주면 깨끗한 옷을 만나게 됩니다. 주의하실 점은 다른 염료의 색이 혼합된 옷은 물 빠짐이 생기기 때문에 이 방법은 이용하시면 안 됩니다. 

4. 아스피린을 이용한 방법

우리가 감기나 통증이있을때 먹는 아스피린도 변색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세숫대야에 10L의 뜨거운 물을 준비하고 아스피린 5알을 녹여줍니다. 이때 가루로 내 녹여주면 훨씬 빠르게 녹습니다. 여기에 변색된 흰옷을 담그고 8시간 이상 방치해 둔 후 세탁기에 돌리면 됩니다.

5. 치약을 이용한 방법

치약은 흰옷에 튄 음식물처럼 적은 부위에 사용하는 방법으로 조금 묻혀서 솔 또는 손으로 살살 문지른 다음 헹궈주면 효과가 있습니다. 참고로 치약은 화장실의 곰팡이 제거에도 효과적입니다.

6. 우유를 이용한 방법

실크소재 흰옷은 변색이 일어나기 더욱 쉽기 때문에 세탁 헹굼단계에서 우유를 살짝 넣으면 변색방지 효과가 있습니다.

7. 레몬즙을 이용한 방법

물과 함께 레몬을 껍질체로 잘라서 끓여준 뒤 불은 끄고 삶은 물에 흰옷을 담가줍니다. 대략 1시간 정도 담가 놓으면 마법처럼 흰옷이 하얗게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커피 자국이나 부분적인 얼룩 또한 레몬즙을 활용하여 하얗게 만들 수 있습니다. 얼룩에 레몬즙을 묻히고 솔을 이용하여 잘 문질러 준 후 세탁하면 얼룩이 지워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8. 쌀뜨물을 이용한 방법

쌀을 씻을때 나오는 쌀뜨물을 버리지 말고 나뒀다가 이용하는 방법으로 쌀뜨물에 담가두었다 오염 부위를 주물러준 후 헹궈내거나 세탁기에 넣어서 일반 세탁을 하면 하얗게 됩니다.

9. 삶기를 이용한 방법

오래전부터 사용해 온 표백방법으로 삶아주는 방법은 옷감을 상하게 할 수 있지만 흰옷 하얗게 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면으로 된 흰옷과 가루세제를 넣고 아주 약한 불로 천천히 삶아줍니다. 주의사항으로 락스를 넣게 되면 매우 위험하니 락스사용은 절대 하시면 안 됩니다.

10.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방법

대표적인 탈색제인 과산화수소를 가루세제 2스푼과 같이 풀어줍니다. 여기에 뜨거운 물을 채워준 후 옷을 담가두면 말끔해진 하얀 옷을 볼 수 있습니다.

11. 주방세제를 이용한 방법

적은 부위에 음식물이 튄 경우 주방세제를 활용해서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색이 착색된 후에는 소용이 없으므로 얼룩이 발생하는 즉시 주방세제를 묻혀서 얼룩 부위를 비벼줍니다. 이후 물로 세척하면 감쪽같이 얼룩이 사라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흰옷 세탁요령

흰옷을 다른 색상의 옷과 함께 세탁하면 안 된다는 사실은 모두 잘 알고 계실 겁니다. 흰 옷만을 따로 모아 50도 이상의 온수로 세탁합니다. 온수로 세탁하는 이유는 누렇게 만드는 단백질성분과 잔여세제가 온수에서 더 잘 녹아 나오기 때문입니다. 세제 또한 표백효과가 좋은 제품을 선택하도록 하며, 무조건 많이 넣는 것보다 세제 용기에 적힌 적정권장량을 넣는 것이 좋습니다.

 

 흰옷 관리방법

흰옷을 입을 땐 지저분한 것이 덜 묻도록 조심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또한 흰색옷을 입고 땀을 흘렸다면 바로 빨아서 말리는 게 중요합니다. 세탁 시 헹굼 단계에는 한번 정도 더 돌려주어 잔여세제가 옷감에 남아있지 않게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흰옷을 보관할 때는 직사광선이 들지 않는 건조하고 어두운 장소에서 보관하셔야 햇빛에 의한 화학반응을 줄일 수 있습니다.

 흰 옷에 누런 때 생기는 이유

흰옷은 본래부터 백색이 아닌 다른 색상의 섬유를 탈색해서 만들어진 것으로 사람의 몸에서 흘리는 땀과 자연성분의 화학반응에 의해 누렇게 변합니다. 세탁 시 미처 제거되지 않은 잔여세제 또한 흰 옷을 누렇게 만드는 원인이 됩니다. 위에 알려드린 방법을 숙지하셔서 누런 옷이 아닌 깨끗한 옷을 만들어보세요.

탈색과정을 거친 흰옷이 누렇게 변했을 때 위에서 알려드린 방법들로 관리하신다면 정말 깨끗한 흰 옷을 입으실 수 있습니다. 위 방법들은 가정에서 할 수 있는 탈색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